본문 바로가기
알고보는 역사

1919.03.01 그날의 함성

by 놀러와이 2023. 10. 2.
반응형

1. 3.1절이란

3·1 운동은 일제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강점기에 반대하여 191931일 만세 운동이 일어난 한국의 독립 선언한 사건입니다. 대한제국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고종 독살설을 계기로 고종의 장례일인 191931일에 맞추어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입니다.

대략 3개월 정도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조선 총독부는 강경하게 진압하였습니다.

3.1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들을 민족 대표 33인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만세 운동이 실패한 후에 구속되거나 재판에 서게 됐습니다.

조선 총독부의 공식 기록에는 집회인 수가 106만여 명 정도로 당시 조선 인구 중 2.76%에서 2.97%가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3.1 운동을 계기로 다음 달인 1919411일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중국 상해 수립되었습니다. 3.1 운동을 대한민국 건국의 기원으로 삼아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명시하였습니다.

일본은 3.1 운동 이후 군사, 경찰에 의한 강경정책에서 민족 분열정책인 일명 문화 통치 체제로 정책을 바꾸게 되는 시발점이 되었지요.

 

2. 전개

준비 과정

최남선 독립선언서를 기초하였습니다.(최남선은 후에 친일파로 변절하였지요.) 민족종교인 천도교의 대표인 손병희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천도교인, 기독교인, 불교도인 이 참여하여 계획과 장소를 결정하였습니다.

이들을 민족 대표 33인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정해진 장소와 시간인 오후 2시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모여들었습니다.

민족 대표 33인이 보이지 않았지만 경신학교 출신 정재용이 팔각정에 올라가 독립선언서를 민족 대표 33인 대신 읽었습니다.

지방 사람들도 합세하여 수십만의 사람들이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정재용이 독립선언서를 우렁차게 읽자 만세소리가 울려 퍼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모인 사람들 모두 대한 독립 만세를 울부짖으며 자그마한 태극기와 선언서가 하늘에서 내리고 있었습니다. 시위행진은 서울을 8개 구로 나누어 길을 가면서 독립선언서를 나눠주고 조선 독립 만세를 외쳤습니다.

종로에 이르러 다시 연설을 벌이자 일본 헌병과 기마병들은 폭력을 행사하며 해산시키려 하였으나 군중들은 결연한 태도로 물러가지 않다가 6시가 되어서 자진 해산하였습니다. 다음날 총독부는 독립단을 수색하고 체포하여 투옥하였습니다.

 

기미독립선언서 일부 내용

1. 우리는 이에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한다. 이 선언을 세계 온 나라에 알리어 인류 평등의 크고 바른 도리를 분명히 하며, 이것을 후손들에게 깨우쳐 우리 민족이 자기의 힘으로 살아가는 정당한 권리를 길이 지녀 누리게 하려는 것이다.

 

2. 반만년이나 이어 온 우리 역사의 권위에 의지하여 독립을 선언하는 것이며, 이천만 민중의 정성 된 마음을 모아서 이 선언을 널리 펴서 밝히는 바이며, 민족의 한결같은 자유 발전을 위하여 이것을 주장하는 것이며, 누구나 자유와 평등을 누려야 한다는 인류적 양심이 드러남으로 말미암아 온 세계가 올바르게 바뀌는 커다란 기회와 운수에 발맞추어 나가기 위하여 이를 내세워 보이는 것이니, 이 독립 선언은 하늘의 밝은 명령이며, 민족 자결주의로 옮아가는 시대의 큰 형세이며, 온 인류가 함께 살아갈 권리를 실현하려는 정당한 움직임이므로, 천하의 무엇이든지 우리의 이 독립 선언을 가로막고 억누르지 못할 것이다.

 

내용의 기미독립선언서를 발표하며 일제강점기에 대한 부당함을 만천하에 알렸다.

 

3. 추천 영화-항거

3.1운동 하면 유관순 열사가 제일 먼저 떠오릅니다. 유관순 열사와 함께 서대문 8호실에 갇힌 여자들의 이야기로 영화의 특이한 점은 흑백으로 나온다는 것입니다.

흑백으로 연출한 이유는 유관순 열사와 서대문 감옥 8호실의 여성들의 모습에 보다 집중할 수 있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현재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으며, 영화 출연진 연기도 스토리도 정말 좋은 영화입니다. 3.1운동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느끼고 싶은 분이라면

항거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