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어제 농사짓던 인물이 내일 독립군으로-봉오동 전투 1. 봉오동 전투란 1920년 6월 7일 봉오동에서 홍범도, 최진동, 안무 등이 이끈 대한 북로 독군부의 한국 독립군 연합 부대가 일본군 무찌르고 크게 승리한 전투입니다. 그 많은 일본군을 상대로 적은 수의 우리 대한독립군들이 대승을 이루어 낸 전투로 우리 독립군들의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2. 봉오동 전투 전개 1920년 6월 4일 독립군 홍범도 최진동 부대의 독립군 사령부 1개 소대가 북간도에서 두만강을 건너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에 있던 일본군들을 공격하였습니다 독립군들의 활발한 활동에 대해 방비책을 세우고 있던 일본군들 입장에선 독립군들이 좋은 빌미를 제공한 것입니다. 이에 급보를 받은 일본군들은 중대를 출동시켜 반격전을 시작하였습니다. 독립사령부는 1개 소대를 봉화리라는 곳.. 2023. 10. 9.
잊을 수 없는 슬픔 5.18 광주 민주화운동 1.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18일 전라도를 중심으로 광주시민과 함께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입니다. 당시 광주 시민은 전두환의 신군부 세력이 5·17 비상계엄 전국 확대 조치로 인해 발생한 민주화와 완전히 반대되는 역행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였으며 이에 전두환이 지휘하는 신군부는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무자비한 폭력으로 수많은 시민이 희생된 사건입니다. 2. 전개 12.12 군사 반란 부마항쟁으로 나라가 시끄러울 때 1979년 10·26 김재규가 박정희를 총으로 사살하여 박정희가 사망하였습니다. 이때 나라가 혼란스러운 틈을 타 전두환은 혼란스러운 틈을 타 하나회를 중심으로 한 신군부.. 2023. 10. 2.
1919.03.01 그날의 함성 1. 3.1절이란 3·1 운동은 일제강점기에 있던 조선인들이 일제강점기에 반대하여 1919년 3월 1일 만세 운동이 일어난 한국의 독립 선언한 사건입니다. 대한제국 고종이 독살되었다는 고종 독살설을 계기로 고종의 장례일인 1919년 3월 1일에 맞추어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입니다. 대략 3개월 정도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조선 총독부는 강경하게 진압하였습니다. 3.1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들을 민족 대표 33인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만세 운동이 실패한 후에 구속되거나 재판에 서게 됐습니다. 조선 총독부의 공식 기록에는 집회인 수가 106만여 명 정도로 당시 조선 인구 중 2.76%에서 2.97%가 만세 운동에 참여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3.1 운동을 계기로 다음 달인 1919년 4.. 2023. 10. 2.
광복 그날의 희열, 광복절에 대해 1. 광복절이란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1910년부터 우리 국권을 강탈해 간 일제는 조선 총독부를 설치한 뒤 행정, 입법, 사법 및 군대를 장악하고 우리 민족을 잔인하게 탄압하였습니다. 1945년 이러한 일제강점기에서 한국이 일본제국으로부터 해방된 날입니다. 또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선 이날을 국경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자기 집에 국기를 달아 경축하고 있습니다. 2. 전개 2차 세계대전(1941-1945) 독일군의 항복 이후에도 태평양 전선 전쟁은 계속되었습니다. 결국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으며 8월9일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습니다. 결국 8월 14일에 일본은 포츠담 조약에서 연합국들이 결정한 의사를 그대로 따.. 2023. 9. 19.